가치 투자(5)
-
주식 투자시 사업보고서에 나오는 중요한 숫자들
서두 구체적인 사례는 적지 않겠습니다. 해당 기업이 향후 어떻게 변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겉은 깨끗한 사과지만 속이 썩었다면 그 사과를 살 이유가 없죠. 우리는 주식을 매수하기 전에 그 속을 봐야 합니다. 기업의 속을 들여다볼 때, 중요한 몇 가지의 숫자들이 있습니다. 전체 매출액 중 인기 제품의 비중 예를 들어, 캡슐 세제가 잘 팔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캡슐 세제가 생필품 회사의 전체 이익 중 5%밖에 안된다면, 그 제품 하나만 보고 사기엔 바람직하지 않겠죠. 이익성장률 이익성장률 = (장기 성장률 + 배당수익률) / 주가수익비율 피터 린치는 이익성장률이 1보다 작으면 부실하다, 1.5면 양호함, 2 이상이면 안심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한편으로, 세전이익률을 볼까요? 세전 이익률이 꾸준하게 ..
2020.05.05 -
재무제표로 기업 건전성을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
서두 구체적인 사례는 적지 않겠습니다. 해당 기업이 향후 어떻게 변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처음 보는 사람에게는 알기 어려운 재무제표 파트입니다. 읽을 줄은 알지만 그게 무슨 의미를 뜻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고요. 피터 린치 또한 복잡하다고 느꼈는지 가장 중요한 부분은 대차대조표라 하였고, 몇 분 이상은 소비하지 않는다네요. 이를 거꾸로 말하면 몇십 년간 몇천 건 이상의 보고서를 읽었기에 가능한 게 아닐까요..? 대차대조표에서 순현금 보유량 구하기 피터 린치는 다음 항목을 확인하라고 합니다. 유동자산 현금 및 현금등가물(현금 및 현금성 자산) 유가증권, 매입원가 및 경과 이자(단기금융상품 및 자산) 장기부채 장기부채의 총액 즉시 운용 가능한 현금성 자산 총액과 장기부채의 총액 두 가지만 남네..
2020.05.05 -
기업 분류에 따른 투자 후 매도 방법
서두 구체적인 사례는 적지 않겠습니다. 해당 기업이 향후 어떻게 변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전편 : 기업 분류에 따른 투자 방법(https://thereisahope.tistory.com/29) 결국 투자했을 때와 같은 방식으로, 매도할 때도 같은 원리가 적용되어야 합니다. 시장이 폭락해서 팔아버리는 것과, 시장이 폭등해서 추격 매수하는 것을 생각해 보면 됩니다. 피터 린치는 매도 시점을 다음과 같이 제안합니다. 1. 저성장주 시장 점유율의 하락(2년 이상)과 그에 따른 광고비 증가 연구개발비 삭감과 그에 따른 신제품 개발의 지연 및 중지 비관련 기업 매수 증가 부채 비율의 급격한 증가 배당 수익률의 하락 첫 번째 항목만 빼면 거의 모든 기업에 해당되는 거 같은데요..? 개인적으로 보유 현금과 ..
2020.05.04 -
기업 분류에 따른 투자 방법
서두 구체적인 사례는 적지 않겠습니다. 해당 기업이 향후 어떻게 변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전편 : 기업 분류 방법(https://thereisahope.tistory.com/28) 이제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복잡한 투자방법론을 제시하진 않겠습니다. 어떤 방식이든 "근거"를 제시하라 당연한 겁니다. 이건 어떤 투자자든, 심지어 가치 투차가 아닌 전문 트레이딩도 지켜야 합니다. 근거를 제시해야 하죠. "이게 잘 되면 앞으로 성장할 거다." 네, 그니까, 그게 왜 잘 될 거라 생각해요? "... 당연한 거 아냐? 이건 잘 될 수밖에 없어." 이러면 망하는 겁니다. 결국 주가가 오르면 자신이 맞고 주가가 떨어지면 자신이 틀렸다는 생각에 직면합니다. 반대로 주가가 오르던 떨어지던 자신..
2020.05.04 -
기업 분류 방법
서두 구체적인 사례는 적지 않겠습니다. 해당 기업이 향후 어떻게 변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보통 가치투자를 한다 하면, 우리는 기업을 분류할 줄 알아야 합니다. 저는 피터 린치가 제시하는 6종류를 제안합니다. 그나마 직관적으로 분류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저성장주 대형우량주 고성장주 경기순환주 회생주 자산주 그럼 잠깐 질문에 답해볼 수 있나요? 각각의 의미를 이해하고 있는가? 만약 당신이 산 주식, 살 주식은 어디에 속하는지 바로 답할 수 있는가? 아마 바로 답이 안 나온다면 잘 모르거나, 아니면 저기에 속하지 않을 겁니다. 저는 처음에 왜 7번째 항목은 존재하지 않는가? 에 대하여 고심해 봤는데, 만약 저 6개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주식은 "성장성을 판단할 수 없는 기업, 이해하기 어려운 기업"..
2020.05.03